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이 책은 한마디로, 에바그리우스의 『안티레티코스』에 대한 현대판 해설집이다.
‘악한 생각 대처법’을 담은 『안티레티코스』는 에바그리우스가 4세기 수도승들에게 당대의 언어로 설파한 책이라, ‘악한 생각’의 유형과 사례가 현대인의 경험에 늘 맞아떨어지지는 않는다. 에바그리우스의 방법론이 오늘날에도 호소력을 발휘하려면 그의 언어가 우리의 삶 속으로 생생히 ‘번역되어’ 들어와야 한다. 안셀름 그륀 신부는 이 책에서 에바그리우스의 생각을 현대인의 감성에 맞는 오늘날의 말로 재해석했다. 이 책은 저 옛 방법의 생명력이 오늘날에도 사라지지 않고 있음을 증명한다.


책 속에서

탐식
다이어트 중독자들은 어떻게든 안 먹으려 하다가 그렇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먹는 걸 맘대로 조절할 줄 아는 것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그러다 급기야 자제력을 잃고 말지요. 먹을 줄도 모르고 먹는 즐거움도 모릅니다. 병입니다. 금욕을 터무니없이 자랑 마십시오. 삶을 버릴 작정입니까? 금욕으로 요란 떨고, 명분 앞세우고, 용감히 다 내려놓는 영웅놀이는 끔찍한 일입니다. 살아도 사는 맛을 모르고 사는 까닭이지요. (25쪽)



음욕

자신을 속이지 마십시오. 그녀를 도우려는 마음 뒤에는 그녀와 친해지고 싶고 연애하고 싶은 욕망이 무의식 중에 도사리고 있는 것 아닙니까! (43쪽)



탐욕
식솔을 굶기지 않으려면 그럴 수밖에 없노라고, 밤낮 일만 하는 아버지들은 변명하지요. 일 많이 해서 넉넉히 벌면, 그때 가족들과 시간을 보낼 거랍니다. 이런 아버지들에게 그 시간은 절대 오지 않습니다. 더 많이 일하라고 스스로를 닦달하니까요. 지금 이 순간을 잡으십시오. 여차하면 늦습니다. 내적 공허를 일로 채우려 한다는 걸, 이 남자들은 알지 못합니다. (63쪽)



슬픔
에바그리우스[…]는 내 슬픔의 종점을 알려 주지 않고, 슬픔을 슬픔으로 내버려 둡니다. 다만 하느님께 오롯이 의탁하라 권합니다. 슬픔이 잦아들게 해 주십사 기도하지 말고, 슬픔이 어찌 이리도 날카로운지, 어찌 이리도 헤어날 길 없는지, 주님께 여쭈어 보라 이릅니다. 슬픔의 무게를 스스로 저울질하지 말고, 주님께 오직 나의 물음을 던질 수 있어야 내 슬픔은 겨우 조금씩 변모해 갈 것입니다. (79쪽)



분노
원망은 수도승들의 깊은 외로움에까지 파고듭니다. 그들에게는 사람들 앞에서 대놓고 화낼 기회조차 없습니다. 그럴 때, 해묵은 원망이 스멀스멀 피어오릅니다. 몸이 가는 곳마다 마음 깊이 자리한 원망도 함께 따라다니는 것을 저들도 알고 있습니다. 감정을 파내 버려도 말들은 기억 속에서 사라지지 않습니다. 내가 상처 입은 말들이 떠오르기 무섭게 다시 원망이 깨어나고 분별력도 흐려집니다. 에바그리우스는 잠언의 말씀을 들려줍니다. 분노를 간직하는 이들의 행로는 죽음에 이른다지요. 이 말씀은 원망의 종점이 어딘지 보여 주면서, 생명으로 인도하는 의로움의 길을 가도록 우리에게 권하고 있습니다. (91쪽)



아케디아
사는 게 너무 힘들다는 불평이 여기저기서 터집니다. 에바그리우스는 위로의 말을 아낍니다. 다만 주님을 신뢰하며 선을 행하라 요구합니다. 벅찬 가슴으로 토해 내는 이 말이 우리를 자기연민으로부터 지켜 줍니다. 더는 ‘자신을 불쌍히 여기지’ 않고 주님을 신뢰하며 선을 행합니다. 담대한 마음으로 자신을 주님께 의탁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진부한 기교도 아니고 심리적 눈속임도 아닙니다. 주님께서 언약의 정당성을 몸소 보증해 주신 성경 말씀을 진심으로 받아들이는 것일 뿐입니다. (109쪽)



헛된 영광
한 수도승이 원로를 만나러 갔습니다. 그는 위대한 단식가였습니다. 원로는 자기가 식사를 마칠 때까지 독방 바깥에서 기도하며 기다리라 일렀지요. 그때 단식가에게 악령이 붙었습니다. 배가 고파 죽을 것 같아서 원로의 독방으로 뛰어들며 말했습니다. “제 고향에서라면 일주일도 너끈히 굶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배가 고파 미치겠습니다.” 원로가 맞받아쳤습니다. “고향에서 너는 사람들의 존경을 먹고 살지 않았느냐. 돌아가라, 가서 평범하게 살아라.” (133쪽)



교만
영성생활에 어느 정도 진척이 있다 싶자, 세속적 욕구에는 벌써 초연해진 듯합니다. 먹는 일에도 마음 쓸 일 없고, 울화도 분노도 저만치 사라져 갔다네요. 그걸 자랑하는 사람은 언젠가, 반드시, 탐식의 공격을 받게 됩니다. 그가 진짜로 분노를 이겨 냈는지는 누군가 그를 신랄하게 비판할 때 드러납니다. 뭔가를 이루었다고 절대 자랑하지 마십시오. 다 극복한 줄 알았던 것들이 금세 우리를 다시 덮칩니다. 먹는 일에 마음 쓸 일 없고 이 순간 분노도 느끼지 않는다면, 그저 감사한 마음으로 지켜볼 일입니다. (155쪽)



들어가며



탐식 : “당신이 어떤 음식을 먹는지 말해 주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가르쳐 주지.”


음욕 : “조건 없이 주고받는 사랑이 아니라면 그건 사랑이 아니라 거래다.”


탐욕 : “가난한 사람이란 적게 가진 사람이 아니라 많은 걸 원하는 사람이다.”


슬픔 : “까닭 없이 슬프다는 사실이 바로 슬퍼해야 할 이유다.”



분노 : “우리가 화를 내는 순간 상대방은 목적을 달성했다. 우리는 이미 그의 손아귀에 들어 있다.”


아케디아 : “나태는 우리를 고통 속에 묶어 둔다.”


헛된 영광 : “분별력과 판단력이 떨어질수록 허영심은 더 커진다.”


교만 : “교만은 공허한 마음의 방어막이다.”



옮기고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