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서방교회와 동방교회에서

성모님을 찬미하는 노래들

가톨릭 교회에서는 성모님을 하느님의 뜻에 온전히 순종한 믿음의 모범이자, 인류 구원을 위해 자신을 내어 맡긴 첫 번째 신앙인으로 공경한다. 단순한 존경심이 아니라 신앙의 길을 안내하는 안내자로서, 신앙의 여정에서 본받아야 할 분으로 성모님을 바라보며 성모 성월을 정하고, 묵주 기도와 찬미가를 바치며 그분께 전구를 청한다. 그러한 성모 신심은 음악이나 시, 그림 등 예술적 표현을 통해 더욱 깊이 자리 잡아 왔다.

이번에 출간된 《성모님께 바치는 찬가들》은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찬가 97편과 그에 관련된 설명을 함께 수록한 책이다. 성모 찬가가 교회 전례에서 어떤 역할을 해 왔는지, 각 시대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 속에서 성모님을 어떻게 찬미해 왔는지 살펴본다.


마니피캇(혹은 하느님의 어머니Theotókos의 송시, 루카 1,46-55 참조)과 즈카리야의 노래(루카 1,67-79), ‘대영광송’의 도입부인 천사들의 영광송(루카 2,13-14), 시메온의 노래(루카 2,29-32)는 초기부터 성경 송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는 시편들과 더불어 다양한 교회의 일상 기도를 구성하고 있었고, 오늘날에도 시간 전례와 미사 전례의 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교회의 신앙과 전례 속에서

피어난 신심

초기 교회에서 성모님을 향한 신심은 자연스럽게 신앙 공동체에 자리 잡았다. 431년 에페소 공의회를 기점으로 성모님의 생애를 기념하는 축일이 제정되고, 성모 신심이 전례적으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성모님을 찬미하는 다양한 찬가가 생겨났고, 이 책에 마니피캇, 비잔틴 전례에서 전해 내려오는 성모 찬송, 라틴 교회의 성모 찬미가, 중세 수도원의 기도문, 성모 승천 대축일 찬가, 그리스 및 콥트 전례에서 전해진 성모 성월 찬가 등 다양한 시대와 문화에서 불렸던 것들이 담겼다. 이를 통해 성모 신심이 시대와 지역을 초월해 교회의 공통된 신앙 요소였음을 알 수 있으며, 교회의 전례와 신학 안에서도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알 수 있다.

특히 아타나시오 성인, 요한 다마스쿠스 성인, 암브로시오 성인, 아우구스티노 성인 등 동·서방 교회의 이름 있는 성인과 교부들이 남긴 찬가들이 수록되어 있어, 교회 전통 안에서 성모님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살펴볼 수 있다. 각 찬가마다 그 찬가의 저자나 시대적 배경, 신학적 의미를 일러 주는 것도 이 책의 특징이다.


테르툴리아누스는 초기 그리스도인이 찬가를 노래하며 전례를 거행하고 거룩한 모임을 갖는 것이 익숙했다고 증언한다. 그들의 노랫말을 살펴보면 성경, 특히 시편에 담긴 서정적 구절들을 노래 가사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시간이 흐르자 성모님을 찬미하기 위한 ‘시’도 창작되었다. 밀라노의 주교였던 암브로시오는 서방교회 거룩한 찬가의 창시자로 불리는데, 이는 성경 인용 대신 그가 스스로 구성한 찬미 시편이 전례 안에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기도이자 신앙 고백,

시대를 뛰어넘어 이어지다

성모 찬가는 기도이자 신앙 고백이며 시대를 넘어 신자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는 영적 유산이다. 초대 교회의 신자들이 박해 속에서도 성모님께 의탁하며 불렀던 찬가, 중세 수도원에서 봉헌했던 찬가, 그리고 지금까지 전례에서 불리는 찬가까지 모든 것이 이 한 권의 책에 담겼다. 《성모님께 바치는 찬가들》은 역사적 가치가 담긴 기록일 뿐만 아니라 성모 신심을 더욱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 신앙의 길잡이다. 특히 성모 신심과 전례에 관심 있는 이, 성모님에 관해 깊이 묵상하고 기도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감동적인 울림을 전할 것이다.


오, 하느님의 어머니시여

저는 당신께서 출산하시고도 어찌 여전히 동정으로 남으셨는지

도무지 설명할 길이 없나이다

다만 이 신비를 묵상하며

저희 기쁨을 두며

저희 믿음 고백하나이다


─ ‘아카티스토’ 중에서


서문 5

 

성모님께 바치는 찬가들

찬가 1 마니피캇 51

찬가 2 솔로몬의 송시 54

찬가 3 로마의 히폴리토 56

찬가 4 푸아티에의 힐라리오 59

찬가 5 시빌라의 신탁 63

찬가 6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 67

찬가 7~8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오 70

찬가 9~10 니사의 그레고리오 74

찬가 11~12 시리아의 에프렘 82

찬가 13~14 비잔틴 전례에서 87

찬가 15 밀라노의 암브로시오, 암브로시오 전례 시편 90

찬가 16 스트리돈의 예로니모 94

찬가 17~19 히포의 아우구스티노 97

찬가 20~21 토리의 막시모 101

찬가 22 프루덴시오 104

찬가 23~28 라벤나의 두루마리 107

찬가 29~34 서고트족의 성찬 화답 기도 112

찬가 35 모사라베 전례 118

찬가 36 놀라의 파올리노 121

찬가 37 알렉산드리아의 치릴로 124

찬가 38 앙카라의 테오도토 128

찬가 39~40 콘스탄티노플의 프로클로 131

찬가 41 아카티스토(비잔틴 교회의 사순 시편) 136

찬가 42~47 작가 미상의 찬가 143

찬가 48 예루살렘의 헤시키우스 148

찬가 49~50 세둘리우스 151

찬가 51~52 베드로 크리솔로고 156

찬가 53 셀레우키아의 바실리오 160

찬가 54 발라이 162

찬가 55~56 엘레우테리오 164

찬가 57 사루그의 야고보 168

찬가 58~59 성모 승천 대축일 찬가 171

찬가 60 6세기경 익명의 저자 174

찬가 61 갈리아 전례 177

찬가 62 리비아의 테오테크노 180

찬가 63 위-아타나시오 182

찬가 64 예루살렘의 총대주교 모데스투스 186

찬가 65 예루살렘의 소프로니오 190

찬가 66 콘스탄티노플의 세르지오 193

찬가 67 아나톨리오 196

찬가 68 7세기경 작자 미상의 찬가 198

찬가 69~71 성모님의 애가 200

찬가 72-73 일데폰소 210

찬가 74~75 콘스탄티노플의 제르마노 214

찬가 76~77 크레타의 안드레아 220

찬가 78~81 다마스쿠스의 요한 225

찬가 82 에티오피아의 아나포라 232

찬가 83~84 콥트교회의 성모 성월 찬가 235

찬가 85 테오도로 스투디타 244

찬가 86 요셉 스투디타 246

찬가 87~88 상흔의 테오파네 248

찬가 89 찬가 작가 요셉 251

찬가 90 니코메디아의 제오르지오 254

찬가 91~92 그리스 교회에서의 성모님을 향한 기원 시간 전례 258

찬가 93 아르고스의 베드로 261

찬가 94~95 10세기 작자 미상의 기도문 264

찬가 96 샤르트르의 풀베르토 270

찬가 97 아베 마리스 스텔라 272

역자 후기 275

 

부록

용어 해설 279

참고 문헌 291

주제 색인 292

출처 293


글쓴이 엮은이 코스탄테 베르셀리

1946년부터 1956년까지 만토바Mantova의 가톨릭 주간지 〈라 치타델라La Cittadella〉의 편집장을 역임한 영성 작가이자 역사학자다. 1966년에 잡지 《치빌타 만토바나Civiltà mantovana》를 창간하였으며, 저서로는 《만토바–역사, 문학, 예술Mantova, la storia, le lettere, le arti》(1958), 《역사 안에서의 카스텔 코프레도Castel Goffredo nella storia》(1978) 등이 있다.


엮은이 제오르제스 가리브

로마의 교황청립 우르바노 대학교에서 이콘 신학을, 교황청립 마리아눔 신학 대학교에서 동방교회 마리아론을 가르쳤다. 멜로디스트 로마노스Romano il Melode의 《찬가Inni》(1981), 《동방교회의 축일 이콘들Le icone festive della Chiesa Ortodossa》(1985), 《성모님에 관한 이콘들Le icone mariane》(1887) 등 성모님 찬가와 이콘에 관한 다양한 도서를 출간하였고, 《새 마리아론 신학 사전Nuovo Dizionario di Mariologia》(1985)의 집필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옮긴이 이인섭

2017년 인천교구에서 사제품을 받고 김포 성당에서 보좌 신부로 지냈다. 2022년 이탈리아 로마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동 대학 박사 과정에 진학하여 성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역서로는 《장 루이 스카의 탈출기 이야기》, 《성녀의 작은 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