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이존창과 주문모, 신유박해 이야기

‘조선 천주교의 짧은 봄날’을 배경으로 성직자 영입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신앙의 길을 찾아 나선 이들의 모습을 그린 황보윤 작가의 「신유년에 핀 꽃」이 발간되었다.

 

소설의 주인공은 이존창과 주문모 신부다.

이존창과 주문모 신부의 이야기를 한 축으로, 정약종, 최여겸, 이도기, 강완숙, 황사영 그리고 김원삼 등 각 계층의 생생한 캐릭터들이 엮어가는 이야기가 이 책의 또 다른 축을 이룬다. 특히 유일하게 허구적 인물인 김원삼은 이존창과의 팽팽한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는 비밀스러운 존재로, 이 소설의 히든카드라고 할 수 있겠다.

 

먼저, 앞부분에 주요 등장인물의 간략한 소개가 정리되어 있어 친절하게 책으로 들어가는 문을 열어준다. 1790년 밀사 윤유일이 북경에서 조상 제사가 우상숭배라는 주교의 밀지를 가져오는 것으로 소설은 시작된다. 그로부터 1년 뒤 진산의 양반 윤지충이 모친의 상례를 유교식 제사가 아닌 천주교식으로 치른 일로 그의 사촌 권상연과 함께 참수되고 한양과 양근, 내포와 전주 등지의 교우들이 검거된다.

 

소설의 시간적 배경은 신해년(1791년)부터 신유년(1801년)까지 10년에 걸쳐있다. 세 번이나 배교한 이존창의 신앙 여정과 심리 변화를 밀도 있게 그렸고, 사제품을 받기까지의 우여곡절과 조선에서 겪은 여러 박해 상황을 편지의 형식으로 설득력 있게 전하고 있는 주문모 신부를 만날 수 있다.그리고 브뤼기에르 주교가 조선을 향해 선교의 길을 떠나는 장면으로 소설은 끝난다.

갈등과 위기, 고뇌와 번민, 용서와 화해 그리고 뼈아픈 참회의 통곡….

이 모든 요소들이 한데 어우러진 이야기들은 극적 긴장감을 불어넣으며 소설적 재미는 물론 강렬한 몰입감을 선사한다. 한 시대의 하늘과 구름, 바람과 햇살 그리고 인물들의 다양한 얼굴까지 생생하게 담아낸 이 책은 높은 완성도와 서사구조로 독자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추천의 말]

거룩함과 속됨이 한데 섞인 교우촌과 교우들의 삶, 하지만 하느님이 함께하셨기에 수많은 꽃이 피기를 반복하며 신앙의 역사를 이뤄왔다. 놀라운 신앙의 신비여!

황보윤 작가의 소설 「신유년에 핀 꽃」에서는 수없이 많은 꽃이 피고 지기를 반복하며 또 피워내는 신앙 역사의 장구함을 느낄 수 있다. 2025년은 ‘희망의 순례자’ 희년이다. 이 소설은 이번 희년에 안성맞춤이다. 속됨과 거룩함이 뒤섞인 순례의 길을 걷는나에게 하느님은 또 어떤 꽃을 피우고 계시는지 느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_이영춘 신부

 

역사책에 건조한 문장으로 기록된 단편적인 사실을 다채로운 소설적 상상력으로 재현한 문장들이 인상적이다. 또한 신앙의 길을 향해 나아가는 이들의 마음을 섬세하게 따라간 것도 눈에 띈다. 그들의 마음은 연약하며, 미약한 바람에도 흔들린다. 그 마음은 우리의 마음이기도 하다. 흔들린다는 건 여전히 길을 찾고 있다는 뜻이다. 길을 찾아 헤매는 그 자체가 바로 길이다. 의심과 회의의 과정 없이는 올바른 길을 찾을 수 없다. 신앙은 그런 길의 끝에서 완성된다. 한국 가톨릭의 여명기를 이끈 이들의 삶을 통해 우리는 가장 어두운 때가 지나면 새벽이 온다는 진리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_김연수 소설가 

 

[책속에서]

‘천주가 바라시는 꽃을 피우게. 봄꽃은 묵은 가지에 피고 여름꽃은 새 가지에서 피어나네. 기억하게. 새로 나지 않으면 꽃도 없고 열매도 없네.’

 

근심스럽던 류사의 표정이 문득 밝아졌다. 류사가 붓을 들려는 찰나 신부의 붓이 다음 문장을 썼다. ‘나무를 자주 옮기면 우거지지 않네. 어디에서든 뿌리를 내리게.’

_153쪽

 

‘천국영복은 돈으로 사지 않구 통고痛苦로 산다 하였네. 그러니께 우덜이 매 맞는 것이 천국 가는 본전이지 않겄나? 조금만 참아보게나.’

 

그들은 새벽이 오지 않았으면 했다. 해가 뜨기 전에 천주가 데려갔으면 했다. 잠자다가 숨이 멎길 바랐다. 두 사람은 내일의 고문을 생각하며 진저리를 치다가 겨우 잠들었다.

_232쪽

 

신유년의 박해 과정을 기록하여 이 땅의 그리스도교 역사가 사영의 붓끝에서 살아나게 하라. 교난으로 치명한 이들의 전기를 기록하여 북경으로 편지를 띄워라. 기록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이 되어 끝내 잊히고 만다. 야소의 죽음 이후 역사의 한 축은 박해의 역사이자 순교의 역사였다. 박해자들이 짓밟으면 짓밟을수록 그 숫자는 배가되었다. 그리스도인이 흘린 피는 교회의 씨앗이기 때문이다.

_297쪽


차례

추천의 말 

작가의 말 

프롤로그 

1791년 북경, 첫 번째 편지 

내포의 밤 

1792년 하북, 두 번째 편지 

가시나무침 

1794년 요령, 세 번째 편지 

바우배기 

1795년 창동, 네 번째 편지 

류사와 아각백 

1796년 한양, 다섯 번째 편지 

정산 백련

1800년 후동, 여섯 번째 편지 

빛의 사자들 

1801년 전동, 일곱 번째 편지 

백서 

에필로그 

참고 자료


글쓴이 황보윤

부여에서 태어나 우석대 경영행정대학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2009년 대전일보와 전북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이 당선되었다. 소설집 「로키의 거짓말」 「모니카, 모니카」, 장편소설 「광암 이벽」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