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사이드 닫기

생활성서사

#길 위의 인간   #성모성월 추천도서   #2025 희망의 순례자들 희년   #이탈리아 수도원 기행  

0

COMMUNITY

최근 본 상품

    prev
    /
    next

    고객센터

    • 02-945-5985
    • 업무시간 : 08:30 - 17:30
    • 점심시간 : 12:30 - 13:30
    • 토, 일, 공휴일 휴무

    입금계좌

    • 신한은행 100-030-822603
      예금주 : 재)까리따스수녀회생활성서사
    • 농협 301-0172-3697-51
      예금주 : 재)까리따스수녀회생활성서사

    SOCIAL NETWORK

    생활성서사 인터넷서점

    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이 책은 크게 영지주의의 정의와 역사 및 그 가르침을 담고 있다.

    우선, 자신의 기원에 대한 지식과 참하느님에 대한 지식(그노시스)을 구원의 필수 요소로 여겼던 영지주의자들이 그리스도교와 만나 어떤 화학작용을 일으켰는지, 그리고 그렇게 만나 형성된 영지주의 그리스도교가 초대 그리스도교 안에서 차지한 위치는 어떠했으며, 주류로 성장한 원 정통 그리스도교와의 관계는 어떠했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5세기 이후 그리스도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로 지정되면서 교회 안에서 자취를 감춘 영지주의가 어떤 식으로 살아남았는지, 그리하여 오늘날에는 어떤 식으로 교회 안팎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본다. 아울러 그들의 목소리, 곧 그들이 남긴 문헌들을 통해 그들의 가르침과 관습은 어떠했는지 구체적으로 살핀다. 다시 말해 그들의 목소리를 담은 전거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나그 함마디 문헌들을 토대로 그들의 신관, 인간관, 구원관, 그리스도관, 세계관 등을 상세히 알아본다. 영지주의자들에 대한 교부들의 증언도 참조한다.


    이 책을 통해 영지주의의 과거와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영지주의가 과거 교회사의 일부일 뿐 아니라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현재의 일부이기도 하며 미래에도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남을 것임을 알 수 있을 터이다.



    펴내며 … 4
    들어가는 말 … 11


    제1장
    영지주의를 왜 알아야 하는가? … 16
    신약성경에 나타난 영지주의의 씨앗 ·· 16
    교부들과 영지주의 그리스도인들의 논점 ·· 20
    논쟁의 이점 ·· 21
    영지주의 작품을 읽어야 하는 이유 ·· 23
    토착화의 관점에서·24 / 정통과 이단이라는 관점에서·25 / 영지주의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관점에서·28


    제2장
    영지주의의 정의와 기원 … 32
    정의 ·· 33
    영지주의의 기원 ·· 36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의 관계 ·· 38


    제3장
    영지주의의 역사: 시작부터 오늘날까지 … 41
    초창기 영지주의 교사들:
    사마리아에서 알렉산드리아와 시리아까지 ·· 42
    시몬 마구스·42 / 메난드로스와 사투르니누스·45 /
    카르포크라테스·47 / 에데사의 바르 다이산: 영지주의 공직자·50
    영지주의의 절정기 ·· 53
    발렌티누스·53 / 바실리데스·57 / 마르키온: 최초의 성서 비평가·60
    교부들의 영지주의 비판 ·· 63
    최초의 반대자들·65 / 최고의 이단 논박가 리옹의 이레네우스·69 /
    테르툴리아누스와 히폴리투스·73 / 알렉산드리아의 교부들·76
    영지주의 그리스도교의 쇠락 ·· 82
    12세기 영지주의의 재부흥 ·· 84
    영지주의와 종교개혁, 그리고 계몽주의 ·· 85
    낭만주의와 영지주의 ·· 86
    블라바츠키와 신지학 협회 ·· 88
    융과 그의 영지주의 심리학 ·· 89
    오늘날의 영지주의 현황 ·· 94


    제4장
    영지주의의 문학적 전거 … 98
    외경 행전들 ·· 100
    18세기에 발견된 영지주의 사본들 ·· 101
    나그 함마디 사본 ·· 103


    제5장
    종교로서의 영지주의 … 110
    영지주의는 종교인가? ·· 111
    영지주의의 체험적 측면 ·· 114
    그노시스: 신비주의적 체험 ·· 115
    그노시스 체험의 개념화 및 문서화 ·· 120
    영지주의와 성사 ·· 122

    성사란 무엇인가?: 정통 교회의 가르침·123 / 영지주의자들과 성사·125


    제6장
    영지주의와 신화 … 131
    영지주의 신화 개관 ·· 131
    영지주의 신화의 줄거리·133 / 영지주의 신화의 탄생 배경: 구약성경의
    재해석·135
    대표적 영지주의 창조 신화 ·· 139
    셋파 신화·140 / 발렌티누스파 신화·142
    영지주의 신화에 대한 고찰 ·· 147
    구약의 하느님은 어리석은 창조주인가?·147 / 성선설? 혹은
    성악설?·149


    제7장
    영지주의 모티프 … 151
    세계관 ·· 151
    개요: 물질 세계과 영적 세계·152 / 특징·154
    하느님 ·· 157
    최상신과 창조주·158 / 창조주와 최상신을 구분한 까닭은?·161
    인간 ·· 164
    인간의 실존: 유배와 고립 그리고 결핍·166 / 아담과 하와·168 / 뱀과
    인간·169 / 노레아와 셋·170
    구원 ·· 172
    구원자의 필요성·175 / 구원의 개인적 차원·175
    소피아 ·· 176
    소피아와 데미우르고스·177 / 소피아 개념의 기원·178 / 소피아 관련
    작품들·182

    그리스도 ·· 183
    예수: 영지주의 스승·184 / 그리스도: 어둠을 밝히는 빛, 잠을
    깨우는 소리·186 / 속량이냐 해방이냐?·188 / 육신의 부활이냐 영적
    부활이냐?·191
    죄와 악 ·· 195
    악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설명·196 / 영지주의자들에게 악이란?·198


    제8장
    영지주의에 대한 성찰 … 204
    영지주의와 동양의 종교들 ·· 205
    힌두교·207 / 불교·208
    영지주의자들과 근대 및 근대 후기 사상가들은 무엇이 다른가? ·· 210
    영지주의는 신과 구원자를 추구한다·210 / 영지주의는 하나의
    전통이다·211 / 영지주의자는 극도의 금욕주의에 가까웠다·212
    영지주의자들은 환상과 미신에 빠진 사람들인가? ·· 213
    영지주의자들은 허무주의자들인가? ·· 214


    나가는 말 … 217
    부록 1: 용어 사전 … 226
    부록 2: 참고 문헌 … 231
    부록 3: 찾아 보기 … 237




     
    TOP

    최근 본 상품

    최근 본 상품이 없습니다.

    모두보기

    비밀번호 변경

    회원님의 소중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비밀번호는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중 2가지 이상을 조합한 8~20자

    • 현재 비밀번호
    • 신규 비밀번호
    • 신규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