펴내며 … 4
들어가는 말 … 11
제1장
영지주의를 왜 알아야 하는가? … 16
신약성경에 나타난 영지주의의 씨앗 ·· 16
교부들과 영지주의 그리스도인들의 논점 ·· 20
논쟁의 이점 ·· 21
영지주의 작품을 읽어야 하는 이유 ·· 23
토착화의 관점에서·24 / 정통과 이단이라는 관점에서·25 / 영지주의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관점에서·28
제2장
영지주의의 정의와 기원 … 32
정의 ·· 33
영지주의의 기원 ·· 36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의 관계 ·· 38
제3장
영지주의의 역사: 시작부터 오늘날까지 … 41
초창기 영지주의 교사들:
사마리아에서 알렉산드리아와 시리아까지 ·· 42
시몬 마구스·42 / 메난드로스와 사투르니누스·45 /
카르포크라테스·47 / 에데사의 바르 다이산: 영지주의 공직자·50
영지주의의 절정기 ·· 53
발렌티누스·53 / 바실리데스·57 / 마르키온: 최초의 성서 비평가·60
교부들의 영지주의 비판 ·· 63
최초의 반대자들·65 / 최고의 이단 논박가 리옹의 이레네우스·69 /
테르툴리아누스와 히폴리투스·73 / 알렉산드리아의 교부들·76
영지주의 그리스도교의 쇠락 ·· 82
12세기 영지주의의 재부흥 ·· 84
영지주의와 종교개혁, 그리고 계몽주의 ·· 85
낭만주의와 영지주의 ·· 86
블라바츠키와 신지학 협회 ·· 88
융과 그의 영지주의 심리학 ·· 89
오늘날의 영지주의 현황 ·· 94
제4장
영지주의의 문학적 전거 … 98
외경 행전들 ·· 100
18세기에 발견된 영지주의 사본들 ·· 101
나그 함마디 사본 ·· 103
제5장
종교로서의 영지주의 … 110
영지주의는 종교인가? ·· 111
영지주의의 체험적 측면 ·· 114
그노시스: 신비주의적 체험 ·· 115
그노시스 체험의 개념화 및 문서화 ·· 120
영지주의와 성사 ·· 122
성사란 무엇인가?: 정통 교회의 가르침·123 / 영지주의자들과 성사·125
제6장
영지주의와 신화 … 131
영지주의 신화 개관 ·· 131
영지주의 신화의 줄거리·133 / 영지주의 신화의 탄생 배경: 구약성경의
재해석·135
대표적 영지주의 창조 신화 ·· 139
셋파 신화·140 / 발렌티누스파 신화·142
영지주의 신화에 대한 고찰 ·· 147
구약의 하느님은 어리석은 창조주인가?·147 / 성선설? 혹은
성악설?·149
제7장
영지주의 모티프 … 151
세계관 ·· 151
개요: 물질 세계과 영적 세계·152 / 특징·154
하느님 ·· 157
최상신과 창조주·158 / 창조주와 최상신을 구분한 까닭은?·161
인간 ·· 164
인간의 실존: 유배와 고립 그리고 결핍·166 / 아담과 하와·168 / 뱀과
인간·169 / 노레아와 셋·170
구원 ·· 172
구원자의 필요성·175 / 구원의 개인적 차원·175
소피아 ·· 176
소피아와 데미우르고스·177 / 소피아 개념의 기원·178 / 소피아 관련
작품들·182
그리스도 ·· 183
예수: 영지주의 스승·184 / 그리스도: 어둠을 밝히는 빛, 잠을
깨우는 소리·186 / 속량이냐 해방이냐?·188 / 육신의 부활이냐 영적
부활이냐?·191
죄와 악 ·· 195
악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설명·196 / 영지주의자들에게 악이란?·198
제8장
영지주의에 대한 성찰 … 204
영지주의와 동양의 종교들 ·· 205
힌두교·207 / 불교·208
영지주의자들과 근대 및 근대 후기 사상가들은 무엇이 다른가? ·· 210
영지주의는 신과 구원자를 추구한다·210 / 영지주의는 하나의
전통이다·211 / 영지주의자는 극도의 금욕주의에 가까웠다·212
영지주의자들은 환상과 미신에 빠진 사람들인가? ·· 213
영지주의자들은 허무주의자들인가? ·· 214
나가는 말 … 217
부록 1: 용어 사전 … 226
부록 2: 참고 문헌 … 231
부록 3: 찾아 보기 … 237